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개의 박리성골연골증(Osteochondritis dissecans-OCD)

by 통신리포터 2023. 1. 30.
반응형

개의 관절 뼈연골증(Joint osteochondrosis)와 관련된 개의 박리성골연골증(Osteochondritis dissecans-OC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개-박리성골연골증-OCD

목차

  • 뼈 연골증이란?
  • 어떤 품종의 개가 이 증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가?
  • OCD의 징후
  • OCD 진단
  • OCD 치료
  • 수술 후의 사후 관리 및 예후

뼈 연골증이란?

뼈 연골증은 관절의 뼈 끝에 있는 연골의 비정상적인 발달을 의미하며 병든 연골이 밑에 있는 뼈에서 분리 될때 발생하는 염증이다. 일반적으로 어깨 관절에도 영향을 많이 미치지만 팔꿈치,엉덩이 또는 무릎(슬개골)과 관련이 있다.

어떤 품종의 개가 이 증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가?

뼈 연골증은 주로 대형견종이나 성장기(4~9개월령)의 개에서 많이 발생한다. 수컷에서의 발생률이 암컷보다 두배 정도 높은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 질병은 많은 에너지를 분출하거나 칼슘을 과다하게 섭취한 개에게서 흔히 발견되는데, 다른 요인으로는 유전학, 또는 급격한 성장,외상,혈류부족 및 호르몬 등이 요인이 되기도 한다.

OCD의 징후

OCD증상이 있는 개는 일반적으로 영향을 받은 다리를 절뚝거리거나 절름발이의 모습이 나타나게 된다.
정형외과 검사 중에 OCD증상이 있는 관절에 압력을 가하거나 움직이게 될때의 개는 고통스러워 표현을 하며, 영향을 받는 관절이 부어오르는 형태가 보이거나 체온보다 더 따뜻하게 느껴진다.
다른 경우에는 절뚝거리는 모습이 경미하고 간헐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개가 지속적인 통증을 느끼면서 영향을 받는 다리에 체중을 지탱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OCD진단

OCD증상이 보이면서 다리를 절뚝거리는 개의 검사는 다른 관절 어깨,무릎,엉덩이,팔꿈치 등의 관절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상태를 암시한다. 그래서 OCD의 검사 결과는 고관절 이형성증,슬개골탈구 등의 다른 증상까지 고려하면서 검사를 진행한다. 다양한 뼈와 관절의 증상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각 다리의 여러가지의 X레이 검사 방사선 사진이 필요하며 생후 6~7개월 미만의 개에서는 성장 물리학이나 성장판으로 인해 판단하기 어려울 수 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더 정확한 확인을 위해 관절 경 검사가 필요하기도 하다.

OCD치료

증상이 적거나 아주 작은 이유일 경우에는 개에게 몇주 동안의 휴식과 활동 제한을 받으며 치료하며 자연치유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짧은 산책만 허용되며 제한된 공간에서의 휴식을 권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OCD는 염증을 완화하는 약물치료와 관절 건강을 보충하는 보충제가 처방되며 강아지가 휴식을 취하는 동안 정상적인 관절 수동 운동 범위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운동은 관절의 유연성과 운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행한다.
위의 경우로도 증상완화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다. 병든 연골을 제거하는 수술을 진행하게 되면 염증과 통증이 완화되고 퇴행성 관절 질환의 발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수술 후의 사후 관리 및 예후

수술 후 2~3주 정도는 가벼운 산책만 가능하며 관절수동운동법을 통해 관리하며 항염증제 및 관절 보충제를 처방받게 된다. 3주 후에는 정상적인 산책이 가능하며 수영과 같은 운동도 도움이 될 수 있다. 6주 후에는 가벼운 조깅정도는 즐길 수 있게 된다. 수술 후의 예후 같은 경우에는 관절이 받는 영향에 따라 다른데 모든 경우 이차 퇴행성 관절 질환이 발생하기 전에 수술을 하거나 질병 초기의 치유가 되면 예후가 좋으며 관절에 불필요한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체중 조절과 영양관리가 중요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