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전십자인대 파열(RACL)에 대해 알아보자

by 통신리포터 2023. 2. 6.
반응형

강아지  근골격계(Musculoskeletla)과 관련된 전십자인대 파열(Rupture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강아지-전십자인대-파열

목차

  • 십자인대란 무엇이며 어디에 있을까?
  • 전십자인대 파열이 발생하는 이유
  • 진단
  • 수술적 처치의 필요성과 방법
  • 수술 후 관리

십자인대란 무엇이며 어디에 있을까?

십자 인대는 무릎관절 내에 위치한 두개의 섬유 조직 밴드이며 대퇴골과 경골을 결합하여 무릎이 안정적이게작동 할 수 있는 관절 역할을 한다. 자세히 보면 십자가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하나의 인대는 무릎관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다른인대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뻗어 교차하는 형태로 되어있다. 

전십자인대 파열이 발생하는 이유

전십자인대 파열은 강아지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이며 주로 대형견,특정 품종에서 발생되며 이차적 퇴행성 골관절염이 가장 흔한 원인으로 볼수 있다. 

전십자인대 파열은 강아지에게 극도로 고통스럽고 무릎관절이 불안정 해져 절름발이의 모습을 나타낸다.

비만인 강아지에게 전십자인대파열이 나타나기 쉬운데 이러한 경우에는 경미한 외상에서도 부상이 나타날 수 있다. 슬개골 탈구와 한쪽 무릎에 문제가 있는 강아지는 전십자인대 파열이 되기 쉬운데 한쪽에 전십자인대 파열 증상이 나타나면 30~40%는 2년 내의 반대쪽 다리에도 인대 단열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

일반적으로 보이는 증상은 강아지가 달리다가 갑자기 멈추면서 울부짖는 모습이 나타나며, 전체적인 다리로 체중을 견디는 모습이 아닌 발가락으로만 서있는 급성 파행 증상이 보인다. 이런 증상이 보이면 수의사는 촉진, 전위검사 및 경골 전방 압박검사를 진행하고 방사선/자기공명영상 검사 , 관절경, 관절절개 혹은 윤활액 검사를 통해 진단을 하게 된다.

수술적 처치의 필요성과 방법

관절을 검사하고 파열 된 인대의 조각을 제거 한 뒤 필요한 경우 반월판을 수리하고 인공 인대를 만들어 관절을 안정시킨 다음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는 수술을 진행한다. 대부분의 경우 인공 인대는 무릎 관절의 관절낭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새로운 수술의 기술에는 경골고원 평준화 절골술 (TPLO) 과 경골 결절 전진(TTA)라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대형견이나 운동량이 많은 강아지에게 유익한 치료방법이다.

강아지의 전십자인대 단열은 수술적인 처치로 완화될 수 있는 질병이다.

수술 후 관리

수술 후 에는 6~8주동안 강아지의 활동을 제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체중 조절 및 글루코사민/콘드로이틴과 같은 영양보충제를 통해 강아지의 관절염 발병을 지연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수술 후 의 회복 속도를 높이고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물리치료도 병행하게 된다. 비만이나 과체중은 강아지가 전십자인대 파열을 일으키는데 가장 큰 원인이며 수술 후에도 회복시간이 길어진다. 수술 후 강아지가 체중 감량을 하게 되면 정상적인 기능으로 빠르게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수의사와 상의하여 체중감량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반응형

댓글